보도자료 배포 서비스 뉴스와이어가 제공합니다.
뉴스와이어 제공

성북문화재단, 성북구 대표 굿즈 제작 지원 프로젝트 ‘구디즈’ 성료… 성북의 일상을 담은 생활굿즈, 성북구디즈 8종 공개

성북구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한 창의적 성북 굿즈 8종 개발
성북로컬백화 홍보부스 운영 및 창작자 평가회를 통해 성과 공유
성북의 역사·문화·일상을 담은 생활형 기념품으로 지역 브랜드 확산에 기여
도심제조업 기술과 창작자 협력을 통해 완성도 높은 제품 제작 및 지역 경제 활성화 기여

2025-09-23 15:57 출처: 성북문화재단

성북문화재단, 성북구 대표 굿즈 제작 지원 프로젝트 성료

서울--(뉴스와이어)--4월부터 8월까지 성북문화재단(대표 서노원)에서 진행했던 성북구 대표 굿즈 제작 지원 프로젝트 ‘구디즈(Goodies)’가 9월 결과 공유회를 끝으로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이번 프로젝트는 성북구의 문화적 자원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한 굿즈 제작을 통해 지역 창작자들의 활동을 지원하고 성북만의 생활문화 브랜드를 확산하고자 진행됐다.

◇ 선정 디자이너·예술가 8개 팀, 성북을 담은 굿즈 완성

지난 5월 성북구 대표 굿즈 제작 지원 프로젝트 ‘구디즈’ 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선정된 디자이너·예술가 8팀은 약 5개월간 전문가 멘토링, 교육, 제작비 지원(팀당 최대 180만원)을 받아 총 8종의 시제품을 완성했다.

완성된 시제품은 △썬캐쳐(성북의 문화유산을 그래픽으로 형상화한 오브제) △페이퍼 인센스(성북에서 활동했던 시인 한용운·정지용·이육사의 시를 향으로 경험하는 문학 굿즈) △키링인형, 우드마그넷(정릉천·성북천에서 관찰되는 조류를 모티프로 제작한 키링 봉제 인형 시리즈) △피크닉 스트링백(성북의 산책문화를 반영한 다용도 피크닉 가방) △산책빙고(성북천의 사계절 풍경을 담은 일러스트 빙고판과 스티커 세트) △아크릴 만년 달력(성북의 풍경과 건축요소를 담는 인테리어 오브제) △북커버(성북의 문화예술가 가옥 심우장·최순우 옛집·최만린 미술관 등을 모티프로 한 북커버 시리즈) △패브릭포스터, 자수키링, 해빗트래커(스스로를 돌보고 지켜주는 메시지를 담은 자기돌봄 굿즈) 등으로 성북의 자연과 건축, 문인 등 일상문화를 독창적으로 재해석한 제품들이다.

프로젝트 참여자들은 도심제조업 기술(봉제·인쇄·금속가공 등)을 직접 경험하며 기획부터 제작까지 전 과정을 수행했다. 이를 통해 청년작가들의 창작 역량을 키우는 동시에, 지역 제조업체와의 연계를 통한 산업적 파급 효과도 창출했다.

◇ 성북로컬백화 홍보부스 운영, 시민과의 만남

완성된 시제품은 지난 9월 13일 현대백화점 미아점에서 열린 성북 로컬 브랜드 큐레이션 팝업 ‘성북로컬백화’ 행사에 마련된 구디즈 홍보부스를 통해 시민들에게 공개됐다.

관람객들은 시제품을 직접 보고 체험하며 창작자들과 소통할 수 있었고, 일부 시민은 구매·유통에 대한 관심을 보이며 상담을 진행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구디즈는 단순한 전시를 넘어 실질적인 시장 가능성을 점검하는 자리가 됐다. 창작자들은 멘토링과 제조업체 협업을 통해 실질적인 제작 경험을 얻을 수 있었고, 성북로컬백화에서 시민들의 반응을 직접 확인한 것이 큰 성과였다고 소감을 밝혔다.

향후 성북문화재단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제작된 굿즈를 재단 공식 기념품으로 활용하는 한편 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 등록도 적극 검토할 예정이다.

또한 성북 고유의 로컬브랜드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창작자 간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홍보 강화, 시장 진출 및 유통 채널 발굴 등 후속 전략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성북구 로컬 문화브랜드 강화와 확산

성북문화재단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성북구만의 특색 있는 지역문화콘텐츠를 발굴하고 로컬 창작자들의 브랜드가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성북문화재단은 구디즈는 단순한 기념품 제작을 넘어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일상 속에 스며들게 하는 시도였다며, 앞으로도 지역 창작자와 산업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다양한 문화사업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구디즈(Goodies) 시제품 & 창작자 소개

‘SB Suncatcher’- Studio ctrlz

성북의 문화유산을 그래픽으로 형상화한 선캐쳐. 성북천 비단잉어, 길상사 연꽃, 성북의 감 등을 모티브로 삼아 햇살을 일상에 담는 오브제

지역 키워드: 성북 문화유산, 성북천, 길상사, 감나무

‘Poem Incense’ - 유송이 작가

성북에서 활동했던 시인 한용운·정지용·이육사의 시를 향으로 경험하는 문학 굿즈. 시카드와 인센스가 결합해 ‘시를 피우는 순간, 향이 남는 시간’을 선사

지역 키워드: 성북 문인촌, 문학사, 시인들의 삶

‘성북구 새 친구들’ - 달팽이 작업실

정릉천·성북천에서 관찰되는 조류를 모티프로 제작한 키링 봉제 인형 시리즈. 신경다양성 창작자의 감각이 반영돼 성북의 생태적 다양성과 따뜻한 감성을 전달

지역 키워드: 정릉천, 성북천, 생태, 다양성, 키링인형, 우드마그넷

‘Let's go to Packnic’ - 박민서 작가

성북의 산책문화를 반영한 다용도 피크닉 가방. 가방을 펼치면 돗자리로 활용 가능하며, 폐현수막을 업사이클링해 제작돼 친환경적 가치를 담음. 성북의 다섯명소를 패턴으로 디자인함

지역 키워드: 성북천 산책, 피크닉, 업사이클링

‘성북천 산책빙고’ - 김하늘 작가

성북천의 사계절 풍경을 담은 일러스트 빙고판과 스티커 세트. 성북천의 동식물을 빙고 게임으로 풀어낸 놀이형 굿즈. 친숙한 산책로를 놀이와 기록으로 재해석

지역 키워드: 성북천, 사계절, 주민 산책, 빙고, 엽서, 스티커

‘성북 아크릴 만년달력’ - 꼬맴 작가

성북의 대표적인 풍경과 건축요소들을 현대적인 아크릴 구조물로 재해석. 매년 변함없이 사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달력. 성북의 시간을 담는 인테리어 오브제

지역 키워드: 성북 랜드마크, 지속가능성, 친환경, 만년달력

‘책의 집 북커버’ - 바라바라

성북의 문화예술가 가옥(심우장·최순우 옛집·최만린 미술관 등)을 모티프로 한 북커버 시리즈. 독서를 사유와 창작의 시간으로 확장시키는 굿즈

지역 키워드: 성북 문학예술사, 문인촌, 예술가의 집, 북 커버

‘누가 뭐래도 자라고 있으니까’ - 그로우잇 가드닝 클럽

성북 정릉교수단지에서 매일 매일 정원도 가꾸고 삶도 가꾸는 할머니의 마음가짐을 모티프로, 스스로를 돌보고 지켜주는 메시지를 담은 자기돌봄 굿즈

지역 키워드: 정릉, 가드닝, 자기돌봄, 마음건강, 패브릭포스터, 자수키링, 해빗트래커

◇ 문의 및 상세

- 문의: 성북문화재단 2030 문화비전 사업팀 유선 전화

- 자세한 내용은 성북문화재단 홈페이지 및 SNS에서 공고문 확인

성북문화재단 소개

성북문화재단은 도서관, 영화관, 미술관, 공연장, 교육센터, 문화회관 등 34개의 다양한 문화 시설을 운영하며, ‘문화로 풍요로운 도시, 성북’이라는 미션 아래 지역 대표 축제, 생활문화와 시각예술 활성화 등 여러 프로그램 및 문화 정책 등을 통해 성북구민의 삶과 문화 발전 및 공동체 강화에 앞장서고 있다.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배포 안내 >
뉴스와이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