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배포 서비스 뉴스와이어가 제공합니다.
뉴스와이어 제공

지방시대 실현을 위한 효과적 대안, 지역주도 인바운드 관광정책 추진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방한 외래관광객 지방관광 실태 파악을 위한 종합 분석 및 다양한 정책 참여주체 의견 수렴을 통한 ‘지방시대, 방한 외래관광객 지방관광 활성화방안’ 연구발표
지방관광 목적지 육성, 민간 중심 인바운드 생태계 조성 등 지역주도 정책 추진방안 제안

2025-04-01 15:20 출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우수연구과제 시상식에서 ‘지방시대, 방한 외래관광객 지방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를 최우수과제로 선정했다

서울--(뉴스와이어)--인구소멸의 시대에 지역 주도적인 지방시대 촉진을 위한 다양한 해법이 쏟아지는 상황에서 외래관광객 유치를 통한 ‘지방관광 활성화 방안 관련 연구’가 발표됐다. 방한 외래관광객의 지방관광 활성화를 위해 지역 여건에 맞는 외래관광객 유치 정책을 지역 주도로 추진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지방관광 정책에 대한 성과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 이 연구의 핵심이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원장 김세원, 이하 연구원)은 4월 1일(화) ‘지방시대, 방한 외래관광객 지방관광 활성화 방안(연구책임 김현주 선임연구위원, 윤주 연구위원)’ 연구를 최우수과제로 선정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방한 외래관광객의 지방관광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외래관광객 조사, 항공여객 O/D 조사, 코레일 승차권 구매 자료 등 다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종합적인 분석을 시도했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팬데믹 이전과 비교해 지방을 방문하는 외래관광객 수가 증가했으며, 이들의 숙박일 수와 지출액 모두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에서는 지방을 방문한 외래관광객, 지자체와 RTO, DMO 및 지역관광 전문가 등 다양한 주체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해 방한 외래관광객의 지방관광에 관한 이슈를 진단하고 추진과제를 도출했다. 구체적으로 향후 외래관광객의 지방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인바운드 관광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향으로 정책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피력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주요 과제로는 관광거점도시와 같이 지방관광 목적지를 육성하기 위한 단계별 접근이 필요하며, 인바운드 관광에 특화된 관광혁신 프로젝트의 추진과 지자체 주도적인 외래관광객 유치 전략 수립을 위한 데이터 분석 시스템 구축 등을 제안했다. 특히 올해 10월 개최되는 ‘2025 경주 APEC’을 계기로 세계관광시장에서 우리나라 지방관광의 매력적인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홍보가 필요가 있음을 강조했다.

김세원 연구원장은 “지방시대 실현을 위한 대안으로서 관광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상황에서 지방의 인바운드 관광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돼야 한다”며 “이번 연구 성과가 방한 외래관광객의 지방관광 활성화 정책 추진을 위한 주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연구원의 ‘2024년도 최우수연구보고서’로 선정된 ‘지방시대, 방한 외래관광객 지방관광 활성화 방안’ 전문은 연구원 누리집(www.kcti.re.kr)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 이 보도자료는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지방시대 방한 외래관광객 지방관광 활성화 방안’(김현주·윤주·이성빈, 2024)의 일부 내용을 발췌·요약했음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소개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가정책연구기관으로, 2002년 12월 4일 문화발전연구소와 교통개발연구원이 통합 개원했다. 문화예술·관광·콘텐츠 분야 정책연구기관으로, 문화예술·관광·콘텐츠 분야의 조사 연구 평가를 통해 제조 강국에서 문화 강국으로의 변화를 이끌었고 대한민국의 품격을 드높이는데 기여해왔다.

웹사이트: http://www.kcti.re.kr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배포 안내 >
뉴스와이어 제공